본문 바로가기
Unity/VR 개발하기

[Steam VR 사용하기] 4-1. Input Detail

by 민트코코넛 2021. 9. 11.
728x90
반응형

▶ Unity - Steam VR Input 창 상세 설명서

> Steam VR Input 창 부분별 설명 <

> Action Sets : Action, Function의 총 집합

> Action : Function, 기능, 기술. ex) move, teleport... 

>> In : Controller에서 입력받는 값. 움직임, 클릭 등

>> Out : Controller로 출력되는 값. 진동 등으로 출력

> Action Details : 기능 상세 설명서

> Full Action Path : 각각의 Action(기능)이 저장된 경로

> Name: Action(기능)의 이름

> Type : Action이 구동하는 자료형. bool, vector, pose, skeleton...

>> boolean : True / False로 어떠한 상황을 판단하여 기능을 사용하고자 할때 설정한다. 대부분, Button 기능에 사용

>> Vector 1 : 0 ~ 1까지의 범위를 가지고 있으며, 하나의 축을 기준으로 기능을 사용할 때 적용한다. 변속 기어의 형태 등을 제작할 때 사용

>> Vector 2 : 0 ~ 1까지의 범위를 2개 가지고 있으며, X,Y 축을 기준으로 기능을 추가할 때 적용한다.

>> Vector 3 : 0 ~ 1까지의 범위를 3개 가지고 있고, 3D 공간 내에서 X, Y, Z축을 기준으로 기능을 사용할때 적용한다.

>> Pose : 3차원 공간에서 장비의 위치, 회전 각도를 읽어들여서 특수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. 이때, 기기의 위치값, 회전값, 이동속도(가속도), 회전속도(각속도)를 설정할 수 있다. 도끼질, 낚시대 던지기 등 특수한 행동을 적용해야 할 경우, Pose를 섞어서 사용한다.

>> Skeleton : 장비를 잡고 있는 손가락의 방향을 읽어들여서 더욱 정확한 위치, 회전 정보를 입,출력한다. 고도하고 정밀한 행동을 해야 할 때, Skeleton과 Pose를 섞어서 적용한다.

>> Vibration : Contents 내부에서 일어난 일에 대한 output을 나타내줘야 할 때, 사용하는 것으로, 진동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.

> Required : Action과 Controller를 binding할때, binding의 완료 여부를 확인해주는 부분

>> optional : Action과 Controller의 연결이 완료되지 않아도, 경고문이 출력되지 않는 기능.

>> suggested : Action과 Controller의 연결이 완료되지 않으면, 지속적으로 경고문으로 알림을 띄워주는 기능

>> mandatory : optional과 유사한 기능

> Localization : Action의 Tag, 언어 정보에 대해서 배열로 저장한 부분

728x90